
줄거리
주인공 존은 유명한 뮤지션을 꿈꾼다. 하지만 그는 그의 평범한 이름처럼 재능이 없는 평범한 남자다.
어느 날 존은 소론프르프브스(Soronprfbs)라는 인디밴드의 키보드 연주자로 들어가게 된다. 밴드 멤버로는 클라라, 돈, 바라크, 나나, 그리고 365일 24시간 동안 인형탈을 쓰고 다니는 프랭크라는 인물이 있다.(심지어 샤워할 때도 탈을 벗지 않는다!)

프랭크는 천재 음악가다. 그가 선보이는 음악들은 기존에 없었던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것들이다. 심지어 좋다. 평범한 인간인 존은 그런 프랭크가 부럽다. 밴드 멤버 '돈' 또한 마찬가지다. 자신이 가지지 못한 프랭크의 천재성에 대해 부러워한다. 프랭크는 밴드 소론프르프브스의 정체성이자 정신적 지주다. 밴드 멤버들은 그의 천재성을 믿고 따른다.

존은 프랭크의 일거수일투족을 SNS에 올리고, 프랭크의 독특한 모습, 음악, 행동 등이 화제가 되어 큰 무대에 초대받게 된다. 존은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그의 꿈인 '유명 뮤지션'에 다가갈 절호의 찬스였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프랭크가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하지만 알고 보니 그는 프랭크가 아닌 프랭크의 탈을 쓴 돈이었다.
돈은 프랭크에 대한 질투, 부러움, 열등감 등의 감정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을 한 것이다.
죽는 순간까지 프랭크가 되고 싶어 그가 쓰고 다니는 탈을 쓴채로 말이다.

공연을 앞두고.. 클라라는 프랭크가 유명해지는 걸 원치 않는 소유욕 강한 사람이었는데 존이 자꾸만 프랭크를 무대에 세우려 하자 화가 난다. 다른 멤버들도 유명세를 위해 순수한 프랭크를 이용하는 듯한 존의 모습이 못마땅하다.
갈등이 고조되자 클라라는 존의 허벅지를 칼로 찔러 버리고 구속된다. 밴드는 결국 와해되고 모두 떠난다.
하지만 그런 상황에도, 인싸가 되고 싶었던 존은 기어코 프랭크를 데리고 무대에 올라간다.
사람들의 기대감이 극에 달한 상황, 존은 자신이 만든 노래라도 선보이며 뭐든 해보지만 프랭크는 멀뚱히 있다가 곡이 너무 구리다는 한마디를 하고 쓰러진다.
무대를 완전히 망친 그들. 화가 난 존은 억지로 프랭크의 탈을 벗기고.. 프랭크는 잠적한다.
사실 음악적으로는 천재인 프랭크였지만 심각한 정신적 문제를 앓고 있었다.
(정확한 병명은 영화에서 안나왔지만 신체이형장애+우울증으로 보인다. 신체이형장애: 신체이형장애 또는 신체추형장애는 실제로는 외모에 결점이 없거나 그리 크지 않은 사소한 것임에도, 자신의 외모에 심각한 결점이 있다고 여기는 생각에 사로잡히게 되는 질병이다/출처: 위키백과)
프랭크의 집을 찾은 존. 탈 없인 밖으로 나가지도 못하고 심지어 얼굴을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으려는 심각한 상태의 프랭크를 설득해 밴드 멤버들이 공연하는 지하의 공연장으로 데려간다.
맨 얼굴로 처음 만난 그들. 프랭크는 조심스레 노래를 시작한다.
감상평

출연진도 모르고 본 영화라서 마지막에 탈 벗었을 때 마이클 패스벤더인 거 보고 깜짝 놀랐다. 독창적인 예술가를 정말 잘 연기했고.. 본인은 그렇게 잘생긴 얼굴로 외모에 자신 없는 신체 이형 장애 환자 또한 어쩜 저렇게 잘 소화해내는지. 진짜 연기까지 잘하는 우리 매그니토님..

프랭크의 재능을 대하는 존과 돈의 차이가 흥미롭다. 존은 그를 이용해 자기 욕망을 이루고자 했고 돈은 절망에 빠져 자살을 한다. 누구나 갖고 싶은 재능은 있지만 누구나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자신한테 없다고 슬퍼하며 감정 소모하는 건 본인만 괴롭게 하는 일인 것 같다. 이해는 되지만. 그런 점에서 존은 참 정신만은 건강한 청년이다.
순수하게 음악 사랑하던 밴드 와해시키고 억지로 프랭크 데리고 무대에 올라서 허접한 음악 선보이면서 발악하는 건 꼴 보기 싫고 한대 쥐어박고 싶지만 결국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상황을 되돌리기 위해 용기 내는 건 참 멋있었다. 사실 존은 유명한 '뮤지션'보다는 그냥 인플루언서가 꿈인 관종 총각이었던 것 같음ㅋㅋ
프랭크가 쓰는 가사들 보면 /빵빵 거시X 드러내고 쑤셔/ 난 벽을 좋아해(I like wall) /난 모두를 좋아해 (I like all) /이런 무질서하고 혼돈스러운 이야기를 많이 한다 (코드 진행 또한 일반적이지 않다). 이러한 그의 독창성, 참신함, 파격성이 돋보이는 예술성은 일반적인 사람이 갖거나 혹은 지키기 힘든 것들이다. 자유로운 예술성을 갖고 태어났더라도 일반적인 교육을 받고 취직을 하고 가정을 꾸리고 여하튼 일반적인 삶을 살다 보면 빵빵 거X기 드러내고 쑤셔~ 이런 생각을 하거나 하더라도 차마 드러낼 수 없는 것이다. 프랭크는 탈을 벗으면 완전 다른 사람이 되는데 탈이 익명성이 그를 자유롭도록 도운다. 사회에서 부여되는 어떤 역할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을 드러낼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이다.
음악도 좋고 마이클 패스벤더의 연기가 특히 좋았던 매력적인 영화.
일반 음악영화랑은 좀 많이 다르지만 예술이란 무엇인가 생각해 볼 수 있어 재미있었다. 블랙 코미디스러운 유머 코드도 마음에 든다.
'문화&예술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리뷰] 언더 더 스킨(2014) (0) | 2021.08.09 |
---|---|
[영화 리뷰] 킹덤: 아신전 (2021) / 킹덤의 프리퀄 에피소드 (0) | 2021.08.03 |
[영화 리뷰] 배틀로얄 (2000) (0) | 2021.07.27 |
[ 시리즈물 리뷰 ] 헝거게임 : 판엠의 불꽃 (1) (0) | 2021.07.26 |
[영화 리뷰] 호스텔 (2005) (0) | 2021.07.24 |
댓글